국악기 분류법

현성
Aug 5, 2024
0
국악기(國樂器)는 한국 전통 음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를 말하며, 다양한 분류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악기는 제작 재료, 연주 방식, 음의 발생 원리 등에 따라 분류됩니다. 주요 분류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재료에 따른 분류**:
   - **금부악기**(金部樂器): 금속으로 만든 악기, 예) 징, 꽹과리, 나발
   - **석부악기**(石部樂器): 돌로 만든 악기, 예) 편경
   - **사부악기**(絲部樂器): 현악기, 예) 가야금, 거문고, 해금, 아쟁
   - **죽부악기**(竹部樂器): 대나무로 만든 악기, 예) 대금, 소금, 피리
   - **포부악기**(匏部樂器): 박으로 만든 악기, 예) 생황
   - **토부악기**(土部樂器): 흙으로 만든 악기, 예) 훈
   - **혁부악기**(革部樂器): 가죽을 이용한 악기, 예) 북, 장구
   - **목부악기**(木部樂器): 나무로 만든 악기, 예) 박, 어, 축

2. **연주 방식에 따른 분류**:
   - **현악기**: 줄을 튕기거나 켜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가야금, 거문고, 해금
   - **관악기**: 관을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 예) 대금, 소금, 피리, 생황
   - **타악기**: 두드리거나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장구, 북, 징, 꽹과리

3. **음의 발생 원리에 따른 분류**:
   - **현명악기**(絃鳴樂器): 줄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가야금, 거문고
   - **관명악기**(管鳴樂器): 공기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대금, 피리
   - **체명악기**(體鳴樂器): 악기 자체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징, 꽹과리
   - **피명악기**(皮鳴樂器): 가죽을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북, 장구
   - **공명악기**(空鳴樂器):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 예) 훈, 생황

이와 같은 분류법을 통해 국악기를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각 분류법은 악기의 특성과 연주 방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댓글

Comments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