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다 Aida

현성
Aug 21, 2024
0
《아이다》(Aida)는 주세페 베르디가 작곡한 4막의 오페라이다.(아이다는 오페라의 규모가 굉장히 크지만 4막으로 되어있고, 이탈리아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자면 그랜드 오페라가 아니다.) 프랑스 이집트 고고학자인 오귀스트 마리에트의 쓴 시나리오를 기초로, 카미유 뒤 로클이 프랑스어로 대본을 작성하였고, 이것을 근거로 안토니오 기슬란초니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작성하였다. 1871년 12월 24일 카이로의 Khedivial Opera House에서 초연되었다. 유럽에서는 1872년 2월 8일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에서 최초로 막이 올려졌다.

이집트의 국왕 이스마일 파샤가 수도 카이로에 ‘이탈리아 극장’이라는 극장을 세워, 운하의 개통식과 함께 극장에서 상연할 새로운 오페라를 찾았다. 베르디는 별로 흥미를 느끼지 못해 두 번이나 고사했지만, 대본을 읽고, 작곡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그 당시로서는 유래 없는 거액의 작곡료를 받았다.

<줄거리 >
에티오피아 공주 아이다는 몰래 궁중을 빠져 나왔다가 이집트에 노예로 잡혀간다. 노예로 잡혀가 이집트의 장군 라다메스의 비밀 연인이 되지만 라다메스를 짝사랑하는 이집트의 공주 암네리스는 그 사실을 직감으로 알아챈다. 아이다의 아버지 아모나스로가 이집트를 침공하자 신탁에 의해 라다메스가 이집트군 사령관으로서 파견되고 아이다는 아버지와 정인의 안전 사이에서 갈등하며 노래를 부른다. 이기고 돌아온 라다메스의 행렬에서 아이다는 자신의 아버지를 발견하고, 파라오는 라다메스에게 개선장군으로서의 소원을 묻는다. 라다메스는 에티오피아인 포로들을 풀어줄 것을 청하나 이집트 사제들의 반대로 목숨은 살려주되 노예로서 억류된다. 한편 파라오는 라다메스에게 자신의 딸 암네리스와 결혼할 기회를 주고, 설레는 암네리스는 밤이 되자 결혼 전 신들에게 기도하기 위해 신전에 찾아간다. 문제는 이 신전 앞에서 아이다와 라다메스가 밀회를 약속했다는 것이다.


라다메스를 기다리는 아이다 앞에 아모나스로가 나타나 에티오피아로 망명할 길을 찾기 위해 라다메스를 이용하라고 하고, 아버지의 말을 못 이겨 아이다는 라다메스에게 에티오피아로 도망가 살자고 부추긴다. 사랑때문에 동의해 버린 라다메스는 망명 경로를 아이다에게 말해주고 그 순간 숨어있던 아모나스로가 나타나 자신이 에티오피아의 왕이며 그 길로 사람을 보내겠다고 성급하게 말해 버린다. 기도하던 암네리스는 이 말을 듣고 라다메스를 배신자라고 외치며 아모나스로는 암네리스를 죽이려 한다. 그 전에 병사들이 나타나 아모나스로와 아이다는 도망치고 라다메스는 억류된다. 아직도 라다메스를 사랑하는 암네리스는 라다메스에게 변명의 기회를 주지만 라다메스는 아이다를 위해 입을 다물고 영묘(무덤) 석실에 산채로 갇히는 벌을 받아들인다. 암네리스는 사제들에게 애원해 보지만 소용이 없었고, 라다메스에게 마지막으로 말을 건네며 아모나스로는 죽었으나 아이다는 살아있다는 이야기를 전해준다. 그러나 아이다는 도망치지 않고 라다메스의 소식을 듣고 영묘 석실에 몰래 숨어 들어와 있었고, 라다메스는 아이다가 자신의 죽음을 모른채 잘 살길 원했지만 결국 컴컴한 석실 속에서 아이다를 만나 함께 죽음으로서 마지막 사랑을 완성하게 된다. 암네리스는 밖에서 아이다와 라다메스가 저승에서 사랑을 완성하길 기도하며 노래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된다.


<등장인물 >
아이다(Aida) 암네리스의 여자 노예, 원래는 에티오피아의 공주(소프라노)
• 라다메스(Radames) 이집트 군대의 젊은 장군(테너)
• 암네리스(Amneris) 이집트 왕의 딸 (메조소프라노 / 콘트랄토)
• 아모나스로(Amonasro)  에티오피아의 왕,아이다의 아버지 (바리톤)
• 람피스(Ramfis) 제사장 (베이스)
• 이집트 왕(The King of Egypt) (베이스)
• 불칸 신전의 무녀장 (소프라노)

아이다 해설 1부 
아이다 해설 2부 

아이다 실황

◇ 대표적인 아리아들
(1막) 라다메스 / 청아한 아이다. Celesta Aida. 

(1막) 암네리스, 아이다, 라다메스 3중창 / 여러분 어서 가까이 오세요. Vieni o diletta appressati

(1막) 아이다 /  이기고 돌아오라. Ritorna vincitor.

(2막) 암네리스, 아이다 2중창 / 전투의 결과는 그대 백성들에게 잔인한 것이었다. Fu la sorte dell'armi a' tuoi funesta.

(2막) 이집트의 영광 (개선 행진곡과 합창) Gloria All' Egitto,  ad Iside (Triumpal March and chorus)

(3막) 아이다/ 오, 나의 고향. O patria mia.

(3막) 라다메스,  아이다 2중창 / 그대를 다시 만나니 기쁘다. pur ti riveggo mia dolce aida

(4막) 암네리스,  라다메스 2중창/ 제사장들이 모여드오. Già i sacerdoti adunansi.

(4막) 아이다, 라다메스 2중창 / 죽음은 아름다운 것. Morir si pura e bella.
(4막) 아이다, 라다메스 (무덤안) 암네리스 (무덤밖) 3중창 / 무덤의 장면

댓글

Comments

Loadi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