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트라비아타 La Traviata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La Traviata)'는 주세페 베르디(Giuseppe Verdi)가 작곡하고 프란체스코 마리아 피아베(Francesco Maria Piave)가 대본을 쓴 3막의 이탈리아 오페라입니다. 이 작품은 1853년에 초연되었으며, 알렉상드르 뒤마 피스의 소설 '춘희(La Dame aux Camélias)'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라 트라비아타'는 이탈리아어로 "길을 잃은 여인"을 의미하며, 주인공 비올레타 발레리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립니다.
이 오페라는 국내 단원에 의해 정식으로 공연된 최초의 오페라이기도 하다. 카르멘과 나비부인이 먼저 공연된 적이 있지만, 이것은 일본 악단의 공연이다. 국내에서 라 트라비아타가 최초로 공연된 것은 1948년 1월이며 장소는 부민관이었다고 전해진다.
<줄거리>
(1막)
파리 사교계의 화려한 파티에서 시작됩니다. 사교계를 주도하는 매혹적인 여성, 비올레타 발레리는 질병을 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기를 잃지 않습니다. 여기서 알프레도 제르몽이라는 청년이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하며 둘 사이의 로맨스가 싹트게 됩니다.
(2막)
비올레타와 알프레도가 함께 시골에서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알프레도의 아버지, 조르조 제르몽이 두 사람의 관계를 인정할 수 없다며 비올레타에게 알프레도를 떠나달라고 부탁합니다. 조르조의 요청에 마음이 아프지만, 비올레타는 결국 알프레도를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그녀는 작별 편지를 남기고 떠나며, 알프레도는 이를 오해해 비올레타가 자신을 배신했다고 생각합니다.
(3막)
비올레타가 병세가 악화되어 거의 죽어가고 있는 장면이 그려집니다. 비올레타는 알프레도의 생일을 기념하며 그를 그리워하지만, 삶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직감합니다. 그때 알프레도가 비올레타에게 돌아와 그녀를 용서하고 사랑을 다시 확인합니다. 그러나 이미 너무 늦었습니다. 비올레타는 알프레도의 팔에 안겨 삶을 마감합니다.
<등장인물>
• 비올레타 발레리(Violetta Valéry): 접대부 (소프라노)
• 알프레도 제르몽(Alfredo Germont): 중산층 인물 (귀족이라는 것은 잘못된 정보, 작위가 없는 것에서 명백히 드러남) (테너)
• 조르조 제르몽(Giorgio Germont): 알프레도의 아버지 (바리톤)
• 플로라 베르부아(Flora Bervoix): 비올레타의 친구 (메조소프라노)
• 아니나(Annina): 비올레타의 하녀 (소프라노)
• 가스통 자작(Gastone): 알프레도의 친구(테너)
• 두폴 남작(Barone Douphol): 비올레타의 후원자(바리톤)
• 도비니 후작(Marchese d'Obigny): 플로라의 후원자(베이스)
• 그랑빌 의사(Dottore Grenvil): 비올레타의 주치의(베이스)
• 주세페(Giuseppe): 비올레타의 하인 (테너)
(1막) 알프레도, 비올레타 2중창 / 빛나고 행복했던 어느날. Un di felice eterea.
(1막) 비올레타 / 이상해... 아, 그이인가 봐... 언제나 자유롭게. È strano... Ah, fors’è lui... Sempre libera.
(2막) 알프레도/ 그녀 없이는 행복도 없네. Lunge de lei perme.
(2막) 제르몽, 비올레타 2중창 / 나에게는 천사같은 딸이. Pura siccome un angelo.
(2막) 비올레타 / 아! 어여쁜 따님께 전해주세요. Ah! dite alla giovine.
(2막) 비올레타 / 사랑해 주세요, 알프레도. Amami Alfredo.
라 트라비아타 해설
댓글
Please login to write a comment. Login
Comments
Loading comments...